<p></p><br /><br />뉴스 분석 이어가겠습니다. 정치부 최재원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[질문1]저희가 '세기의 담판'으로 부르고 있습니다만, 결국 비핵화 문제를 놓고 두 정상이 어떤 결론을 내느냐가 관건 아니겠습니까? <br><br>네, 비핵화를 언제, 어디까지 할 수 있느냐가 쟁점입니다. <br><br>모레 오전 두 정상이 마주 앉아 담판을 시작합니다.<br><br>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말하는 비핵화가 무엇인지 확인하려 할 겁니다.<br><br>그것도 김정은의 육성으로 직접 듣고 싶어할텐데요.<br><br>그동안 개발했던 핵무기와 미사일을 북한 밖으로 어느 시점까지 빼내겠다, 핵 개발과 운반 시설들도 모두 폐기하겠다고 김 위원장이 명확하게 밝히도록 하겠다는 뜻입니다.<br><br>반면, 김 위원장은 체제 보장부터 확실히 담보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불가침 약속과 북미 수교 등으로 자신의 체제가 안전할 것이란 확신이 서야 핵도 포기할 수 있다는 겁니다-- <br><br>비핵화 시간표를 놓고 양측의 간극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. <br><br>미국이 요구해왔던 일괄타결은 어렵고, 큰틀의 합의만 이룬 뒤 추가 회담을 이어가야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2]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 얼마나 준비가 돼 있느냐를 놓고 미국 내 시선이 엇갈리는 모양이군요? <br><br>네,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. <br><br>나는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"평생 준비해왔다"<br><br>트럼프의 이 말에 대한 미국 언론의 분석은 제각각입니다. <br><br>뉴욕타임스는 트럼프가 10대 시절 다녔던 군사학교의 동급생들을 인용해 이렇게 썼습니다. <br><br>당시 트럼프의 우상은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했던 맥아더 장군이었다. '트럼프는 맥아더 장군이 끝내지 못한 한국전쟁을 본인이 끝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'는 겁니다.<br><br>또 1962년 미국과 소련이 핵전쟁 일보 직전까지 충돌하는 것을 지켜보며 성장한 탓에 북핵 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. <br><br>반면,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지낸 조셉 윤의 언론 인터뷰 내용은 정반대입니다. <br><br>트럼프가 한반도 안보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절하면서 즉흥적인 협상 태도으로 회담을 망칠 수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><br>[질문3]네 결과가 어떨지는 모레 확인할 수 있겠죠, 그런가 하면 청와대의 시선은 온통 싱가포르로 쏠려있다고 하는군요? <br><br>네, 청와대는 오늘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을 싱가포르로 파견했습니다. <br><br>북미정상회담 진행 상황에 따라 현지에서 정부 입장을 발표할 예정인데요. <br><br>남 차장의 발언 듣고 말씀 이어가겠습니다. <br><br>[남관표 /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]<br>대통령님을 비롯해 많은 분들이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서 오늘 이 단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. 수험생이 발표를 기다리는 심정이다.<br><br>수험생이 발표를 기다리는 심정이다, 청와대가 어떤 마음으로 싱가포르 담판을 바라보는지 알 수 있는 말입니다. <br><br>문 대통령은 휴일동안 일정을 모두 비운채 북미정상회담 진행 과정을 보고받았습니다. <br><br>오늘 열린 6.10 민주항쟁 기념식에도 가지 않고 기념사만 보냈습니다. <br><br>기념사에서도 "우리 국민 모두의 소망이었던 한반도 평화가 다가오고 있다"면서 회담 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. <br><br>문 대통령의 눈과 귀도 싱가포르로 쏠려 있는 겁니다.<br><br>네, 여기까지 듣겠습니다. 정치부 최재원 기자였습니다.